상식체온



반응형

세계의 수많은 수학자, 과학자들이 여러 가지 수학 등식 중에서 유연성, 단순성, 미적 매력 등의 이유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학 공식이라고 알려진 수식이 있습니다.

 

제가 이전 글에서 몇 번 언급한 적이 있는 바로 오일러 공식 또는 오일러 등식이라고 알려진 다음 식입니다.

 

 

위 등식을 자세히 보면, 일명 문과생은 e를 고등학교까지는 배우지 않은 수입니다. 이것에 관한 내용은 다음 글에서 참고할 수 있습니다. 

 

https://nous-temperature.tistory.com/667

 

자연상수 e, 무리수 e 계산 해 보기

고등학교 다닐 때 선택한 문과로 인해, 가장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 e라는 숫자였습니다. 이 숫자의 의미를 그 당시 대강은 알고 있었지만, 문과에서는 나오는 경우가 없었으므로 기억 속에 사라

nous-temperature.tistory.com

 

자연상수 e에 관한 개념을 위의 글을 통해서 이해했다면, 이제 오일러 공식은 조금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수인 e, 자연수가 아닌 허수 i, 원주율, 자연수의 시작의 숫자인 1로 이루어진 식을 더하면, 0이 된다는 이 식은, 전혀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5개라는 숫자로 이루어진 이 공식이 왜 아름다운지는 저는 아직까지 이해하기 어려운 과제 중의 하나입니다.

 

이 공식을 증명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 줄 알지만, 지금까지 제가 수학 이야기에서 쓴 몇 개의 글을 통해서 이 등식을 어설프게 증명할 수 있을 듯하여 글을 써 보고자 합니다.

 

먼저, 제가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초창기에 썼던 삼각함수에 관한 글이 있습니다.

 

https://nous-temperature.tistory.com/16

 

[삼각함수] sin, cos, tan 표 값 구하기 (20년이 지나도 잊지 않는 방법)

이번 시간에는 삼각함수 sin, cos, tan값을 잊어버리지 않고 오래 기억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 고등학교를 졸업한지 꽤 많은 세월이 흘렀고, 수학을 전공하지 않은 제가 최근까지 누구에게

nous-temperature.tistory.com

 

위 글에서 저는 단위원(반지름이 1인 원)을 이용하여 sin, cos, tan 값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. 이 글의 내용을 자세히 보면, 어떠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반지름이 1일 때, x, y 축 좌표 평면에서 x 값의 좌표는 cos 값이 되고, y값의 좌표는 sin 값이 된다는 것일지 모릅니다. x, y 축이 모두 실수 범위이긴 하지만, 이 평면 좌표를  허수인 i를 y축으로 두고, 각을 θ라는 복소평면을 만들면,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.

 

이때 원과 각 세타로 이어진 직선과 만나는 점을 P라고 한다면, 이 P는 복소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, 실수 축 좌표를 a, 허수 축 좌표를 b라고 한다면, P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. 즉, a+bi로 말이죠.

 

단위 원에서 x축은 cosθ,  y축은 sinθ이므로 위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겠습니다.

 

cosθ + isinθ를 θ에 관한 함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.

 

이 함수에서 f(a) = cosa+isina로 쓸 수 있고, f(b) = cosb+isinb로 쓸 수 있고, f(a)와 f(b)의 곱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.

 

 f(a) x f(b) = (cosa+isina)(cosb+isinb)

 

위 식을 전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위 결과에서 i의 제곱은 -1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여기까지 계산하니 흥미로운 것이 보입니다. sin, cos 덧셈 정리에 의해서 위에서 정리한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. cos, sin 덧셈 정리는 다음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https://nous-temperature.tistory.com/573

 

삼각함수 덧셈정리 증명

삼각함수의 합차 공식을 증명하는 방법의 한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. 삼각함수 덧셈 정리, 뺄셈 정리는 증명이 끝나는 마지막에 정리하였으니, 결과를 바로 알고 싶으시다면 맨 아래를 보시면

nous-temperature.tistory.com

 

 

위에서 f(θ) = cosθ + isinθ라고 했는데, θ 대신에 a+b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여기까지 정리하고 보니, f(a) x f(b)의 값이 f(a+b)의 값과 같게 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,.

 

위 식에서 a와 b가 같다면,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.

 

이번에는 f(θ)의 역수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위에서 정리한 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.

cosθ - isinθ는 삼각함수의 각 변환 공식을 적용하면, f(-θ)가 되는데, cos(θ) = cos(-θ),  sin(-θ) = -sin(θ) = 이기 때문입니다.

 

θ = 0일 때, f(0)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제,  f(θ) = cosθ + isinθ 식을 θ에 대해서 미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그러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지금까지 구한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 

위의 5가지 성질을 자세히 보면, 오일러 상수 e를 밑으로 하는 e의 x제곱인 수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놀랍게도 위의 1~4번째 식까지 f(θ) 함수와 e의 x제곱인 수의 특징이 정확하게 일치하네요. e의 x제곱인 수의 특징에서 e의 ix의 특징으로 놓고 보면, 이제; 1~5번째 특징이 다음과 정확하게 일치합니다.

 

즉, 복소평면에 만들어진 함수는 e의 ix 제곱의 함수는 같은 함수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,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을 쓸 수 있습니다. 바로 오일러 공식입니다.

 

만약에 x를 파이라고 한다면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제 마지막 -1을 좌변으로 이동시키면, 오일러 등식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충분히 검토했다고 생각하지만, 혹시 중간에 계산이 틀렸거나, 부호 등이 다르 경우가 있다고 알려주시면 검토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. 이상으로 오늘 글을 마칩니다.

반응형

이 글을 공유합시다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